2024년은 과수농가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가 ‘스마트 과수원’을 키워드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고, 농업 현장에도 점점 기술이 녹아들고 있습니다. 자동화 설비, 데이터 기반 관리, 드론 활용 등은 이제 실험이 아닌 ‘현실’이 되어가고 있죠. 특히나 과수 농사를 짓는 분들께는 생산성뿐 아니라 노동 강도를 줄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수특화 정책이 어떻게 바뀌었고, 스마트 기술이 실제로 농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구체적인 정부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사례를 곁들여 살펴보겠습니다.
과수특화 정책 확대: 맞춤형 지원사업 중심
스마트팜이라는 말은 이제 낯설지 않지만, 과수원에 딱 맞춘 정책이 있다는 건 아직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과수 농사는 일반 채소나 곡물과는 관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별도로 ‘과수특화 스마트 농업’이라는 타이틀을 붙여 정책을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북 제천에서 사과 농사를 짓는 김 모 씨는 지난해 스마트 관수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 장비는 토양 습도와 날씨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자동으로 물을 줍니다. 이전에는 날마다 과수원 한 바퀴 돌며 나무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고 물을 줘야 했지만, 이젠 스마트폰 앱 하나로 관리가 됩니다. 이 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비용 중 70%는 지자체 지원을 통해 보조받았다고 합니다.
정부는 2024년부터 과수 스마트화 시범지구를 전국 17개 시군에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있으며, 이 안에는 ‘기본형 장비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엔 자동 관수장치, 기상 센서, 병해충 알림 시스템 등이 들어가고, 농민은 일정 자부담만으로 이런 장비를 갖출 수 있게 되는 구조죠.
지원 대상은 단순히 대규모 농가에 한정된 것이 아닙니다. 소규모·고령 농가를 위한 ‘저가형 스마트 장비’도 따로 준비되어 있어, 누구나 부담 없이 신청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고 있습니다. 기술이 복잡할 것 같아 겁먹는 경우도 많은데, 요즘 나오는 기기들은 사용자 친화적으로 잘 만들어져 있어 스마트폰만 쓸 줄 안다면 대부분 문제 없습니다.
스마트기술 도입으로 달라진 과수현장
예전엔 날씨만 흐려도 ‘오늘 비 오려나?’ 하며 라디오를 틀고 하늘을 바라보곤 했는데, 요즘은 기상센서가 그 역할을 대신합니다. 특히 과수원처럼 넓은 공간에서 일일이 눈으로 상태를 확인하던 시대는 지나가고 있습니다.
전북 남원에서 복숭아 농사를 짓는 박 씨 부부는 AI 생육 분석기를 활용한 이후, 수확량이 20% 이상 늘었다고 합니다. 이 장치는 나무마다 설치된 센서를 통해 수분, 영양상태, 병해충 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줍니다. 박 씨는 “이전에는 경험으로만 판단하던 것들이 숫자로 보이니까, 나무가 원하는 걸 정확히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하더군요.
또 하나 인상적인 건 드론 활용입니다. 고령의 농업인들에게는 방제 작업이 특히 부담이었는데, 드론을 이용하면 버튼 하나로 방제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경북 상주의 한 배 농가에서는 드론으로 병해충 방제를 시작하면서 기존 대비 작업 시간이 80% 줄었고, 약제 사용량도 30%가량 줄였다고 합니다. 이건 농민 건강은 물론,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죠.
이 외에도 스마트폰 하나로 온실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어디서든 관수나 환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은 특히 외부 일정이 잦은 귀농·겸업농에게 유용합니다. “비 오는 날에도 마음 놓고 나올 수 있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기술이 주는 편리함은 생각보다 훨씬 큽니다.
정부지원 방향: 신청 방법과 향후 과제
정부의 스마트 과수원 관련 예산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총 3,000억 원 이상이 책정되었고, 이 중 약 30%가 과수 분야에 배정됐습니다. 가장 큰 혜택은 역시 장비 지원입니다. 예컨대 자동 급수 시스템의 경우 기기 가격이 약 400만원 정도인데, 정부 지원을 받으면 실제 부담액은 100만원대까지 내려갑니다.
신청은 각 시군청 농업기술센터나 읍·면사무소 농정과를 통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농지 소유 또는 임대 확인, 신청자의 농업 경력, 사업계획서 등이 필요하지만, 신청 절차가 복잡하지 않게 잘 정리되어 있어서 행정 지원도 꽤 친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청년농, 귀농인 우선 지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만 39세 이하의 청년농은 보조금 비율이 더 높고, 선정 평가 시에도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남 곡성에 귀농해 자두농장을 운영 중인 이 씨는 이 제도를 활용해 약 1,200만원 상당의 스마트팜 장비를 설치했고, “초기 진입 장벽이 많이 낮아졌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로는 ‘디지털 격차 해소’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농가에서는 장비를 설치하고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에서는 농업인 대상 교육을 강화하고 있고, 일대일 컨설팅 제도도 운영 중입니다. 또,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함께 지원하는 ‘A/S 동반형 사업’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결론: 스마트 농업의 미래, 지금이 도입 적기
‘기술은 먼 나라 이야기’ 같았던 시절은 지났습니다. 이제는 기술이 농가를 더 편하게 만들어주는 도구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스마트 과수원은 단순히 생산량을 늘리는 걸 넘어서,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열쇠가 되고 있죠.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제도를 잘 활용하면, 부담 없이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혹시 망설이고 있다면, 올해는 그 망설임을 끝내기에 좋은 해가 될 겁니다. 지금이 바로 ‘똑똑한 과수원’을 만들 기회입니다.